람보르기니테르조밀레니오 슈퍼카의미래를 보다
람보르기니하면 부자를 상징하는 슈퍼카이죠. 남자들에게는 꿈의차이기도 하고요. 그런 람보르기니에서 새로운 컨셉카를 선보였습니다. 메사추세츠공대와 공동으로 작업한 람보르기니테르조밀레니오라는 전기슈퍼카입니다. 이 모델을 통해서 슈퍼카의 미래를 볼수 있습니다.
낮은 차체를 가지고 있어 진정한 슈퍼카의 풍모를 풍기는 모습입니다. 또한 테르조밀레니오는 기존의 내연기관식의 엔진을 탑재하지 않고 4개의 타이어에 내장된 휠모터로 달리는 슈퍼카입니다.
측면에서보면 람보르기니의 고유의 디자인이 느껴지면서도 미래지향적인 느낌입니다. 그 이유는 디자인에도 있지만 바로 소재에서 나오는게 아닐까 합니다. 페르조밀레니오의 소재는 탄소나노튜브로 만들어져 있다고 합니다. 이소재는 몸의 상처를 스스로 진단하고 복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하네요.
전세계적으로 전기차가 흐름인 시기에 람보르니기는 시대와 타협하지 않고 고유의 슈퍼카를 만들기 위해서 "에너지저장"과 "혁신소재"를 사용했습니다. 이점이 바로 페르조밀레니오를 슈퍼카의 미래라고 한것입니다.
하지만 전기차가 안고 있는 가장 큰문제는 바로 배터리입니다. 최근에 들어서 전기차의 성능은 비약적으로 발전했지만 무겁고 큰 배터리를 탑재해야 한다는것은 가장 큰 문제가 아닐까합니다. 높은 에너지밀도로 경량,소형이라 불리는 리튬이온 배터리도 이미 수백Kg에 달하는 배터리를 차체에 탑재하고 있습니다.
슈퍼카에서 이문제는 가장큰 약점이 아닐수 없습니다. 그래서 람보르기니와 MIT는 리튬이온배터리를 버리고 차체자체를 슈퍼캐패시터라고 하는 배터리로 만드는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슈퍼캐퍼시터는 전자부품의 콘덴서대형판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충전과 방전을 빠르게 할수 있는것이 가장큰 특징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축전용량이 매우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하이파워를 발휘한다고 해도 그 시간이 매우짧은것입니다. 이문제에 대해 람보르기니와 MIT는 매우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및 개발에 수년이 걸린다 하더라도 이 방향성에 대해서 충분히 진행가치가 있다는 견해를 전문가들은 보이고 있습니다. 이점이 바로 람보르기니페르조밀레니오가 슈퍼카의 미래인것입니다.